티스토리 뷰
트리는 스택,큐와 달리 비선형, 계층적 관계를 표현하는 구조이다.
트리는 데이터의 저장,삭제 보다는 표현에 초점을 두고 있다.
terminal node : 아래에 다른 노드가 뻗치지 않은 최하위 노드 ex)H,I,J,F,G
internal node: terminal node를 제외한 노드 ex)A,B,C,D,E
이진 트리와 서브 트리
이진트리란
1.루트 노드를 중심으로 두개의 서브 트리로 나뉜다.
2.나뉘어진 두 서브 트리도 모두 이진 트리이어야 한다.
이 두 조건을 만족하는 트리이다.
위의 사진은 E가 2번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니 이진 트리가 아니다라고 생각 할 수 있지만
사실 저 트리도 이진 트리가 맞다.
E의 자식 노드로 J의 형제가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공(empty) 노드로 남아 있다.
포화 이진 트리와 완전 이진 트리
트리에서 레벨은 루트 노드를 레벨0으로 시작해 자식으로 내려갈 수록 1씩 증가하는 단위이고,
높이는 총 레벨 이기 때문에 최고 레벨(최하위 노드)=높이로 볼 수 있다.
포화 이진 트리는 모든 레벨들의 자식들이 꽉 차 있는 상태라 노드를 추가하기 위해서는 레벨을 늘려야 하는 모습이다.
완전 이진 트리는 포화 이진 트리처럼 모든 레벨이 꽉 찬 상태는 아니지만
위와 같이 빈 틈 없이 채워진 상태이다.
E,F,G의 자식 노드들이 공 노드로 채워져 있기 때문에 빈 틈이 없다고 볼 수 있다.
'c언어 > 자료구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자료구조]이진 트리 순회 (0) | 2021.02.01 |
---|---|
[자료구조]이진 트리 구현 (0) | 2021.01.31 |
덱의 이해와 구현 (0) | 2021.01.31 |
큐의 활용 (0) | 2021.01.31 |
Queue (0) | 2021.01.22 |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AVTP
- 케라스
- SOME/IP
- 차량 네트워크
- SVM
- many-to-many
- Ethernet
- 논문 잘 쓰는법
- cuckoo
- 이상탐지
- PCA
- CAN-FD
- AE
- HTML
- AVB
- many-to-one
- automotive ethernet
- 로지스틱회귀
- 단순선형회귀
- 회귀
- 크로스 엔트로피
- json2html
- Python
- automotive
- 머신러닝
- 딥러닝
- porks
- one-to-many
- 차량용 이더넷
- problem statement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글 보관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