정보보안기사/정보보호 일반
정보보호 개요
삼전동해커
2020. 10. 13. 12:30
정보보호 목표
1)기밀성
- 정보가 허가되지 않은 사람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, 노출되었을 때 알아볼 수 없도록 암호화하는 것을 의미.
2)무결성
- 임의에 의해 정보가 변경되지 않았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함. 해시함수를 이용해 무결성을 증명할 수 있음.
3)가용성
- 정당한 사용자가 제 때에 정보를 이용할 수 있어야 함. RAID와 같은 백업 방식을 통해 가용성 유지.
정보보호 공격 유형
1)변조
- 원래의 데이터를 바꾸어 악성코드를 실행시키거나 다른 사이트로 이동하게함.
2)가로채기
- 네트워크 상의 데이터를 중간에 훔쳐 보는 것. 스니핑과 같은 공격.
3)차단
- 정상적인 서비스를 방해한는 공격. DDoS와 같이 서비스 자원을 고갈시켜 가용성을 보장하지 못하게 한다.
4)위조
- 송신되는 메세지를 변조하여 상대방을 속이는 것. 송신자의 IP를 바꾸어 전송하면 수신자는 바뀐 IP를 송신자로 인지하게 된다.
정보보호 대책
1)일반 통제
- 소프트웨어 생명주기에 대한 통제.
2)응용 통제
- 트랜잭션과 데이터 무결성을 확보하기 위한 통제
사용자 인증 방식 및 관리
지식기반 인증
- 사용자가 알고 있는 지식을 확인하는 방법.
- 사용자가 까먹으면 인증할 방법이 없다는 단점.
1.패스워드
2.PIN번호
소유기반 인증
- 사용가 직접 가지고 있는 소유물을 확인하는 방법.
- 사용자가 잃어버리면 인증할 방법이 없고, 복제의 우려도 있다.
1.스마트카드
2.신분증
3.OTP
4.토큰
생체기반 인증
- 평생 불변의 특성을 지닌 생체적,행동적 특징을 수단으로 등록해 인증.
1.생체특성
2.지문
3.홍채
4.서명
5.음성인식
행동기반 인증
- 개인의 고유한 특성을 이용하여 인증하는 기술.
- 생체기반 인증과 비슷하지만 사용자의 행동에 따라서 인증하는 방법.
1.서명
2.키스트로크
3.마우스 움직임
4.걸음걸이
5.단말기 사용패턴
6.음성인식