리눅스
john the ripper 사용하기
삼전동해커
2020. 9. 26. 14:42
존 더 리퍼를 사용해보자.
존 더 리퍼는 잭 더 리퍼에서 이름을 가져온 것 같다.
존 더 리퍼를 사용해서 패스워드 크래킹을 할수 있다.
윈도우 기반에서는 툴을 다운받아서 사용해도 되고,
리눅스 기반에서는
우분투 기준
apt-get install john
으로 설치가 가능하다.
예제로 풀어보면
https://2018game.picoctf.com/problems
의
HEEEEEEERE'S Johnny!
문제를 풀어보자.
nc로 사이트에 접속해서 로그인을 하면 된다고 한다.
그리고 passwd 와 shadow 파일을 던져줬다.
열어보면
두 파일 모두 root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다.
passwd와 shadow의 차이점은
passwd는 로그인에 필요한 사용자의 계정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,
shadow에는 실제 비밀번호를 암호화한 형태로 저장한 파일이다.
더 중요한건 shadow가 되겠다.
이제 존 더 리퍼를 사용해 저 비밀번호를 알아내보자.
john 설치 후
passwd와 shadow가 있는 디렉토리에서
$john passwd shadow > passwd.txt
를 실행한다.
passwd와 shadow파일을 합쳐 passwd.txt 파일로 만들겠다는 것이다.
cat으로 열어보면
이렇게 합쳐져 있다.
패스워드의 암호화 방식에 따라 복호화 방식을 지정할 수 있는데
어떤 방식으로 암호화 됐는지 모르니
$john --format=crypt passwd.txt
명령으로 복호화 해보자.
hellokitty로 복호화 되었다.
이걸로 로그인을 해보자.
풀렸다.
한번 복호화한 비밀번호는 다시 할 필요 없이
명령어로 확인이 가능하다.
그리고 지금까지 했었던 패스워드 목록은
명령어로 확인할 수 있다.